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ws
- codedeploy
- Docker
- CICD
- 스터디
- orm
- MSA
- data
- goorm x kakao
- 개발자
- s3
- serverless
- Spring Boot
- goorm
- 자격증
- nosql
- bootcamp
- 티스토리챌린지
- sqs
- Redis
- mapping
- DynamoDB
- jpa
- QueryDSL
- rds
- codebuild
- spring
- backenddeveloper
- 오블완
- CodeCommit
- Today
- Total
목록Goorm x Kakao Project/1회차 프로젝트 (6)
gony-dev 님의 블로그

이번에는 드디어 1회차 프로젝트를 마무리 짓는 글이다!많은 이슈가 있었고, 팀원간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들이 있었지만 어찌저찌 잘 마무리한 것 같다.그럼 각설하고 1회차 프로젝트에 대한 마무리를 진행해보겠다. 이전 포스트에서는 docker-compose를 통해 컨테이너를 실행시켜 msa 환경이 잘 실행되는지 확인하고 테스트해보았다.다른 문제는 없었지만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재접속을 시도하였을 때 이전에 생성하였던 데이터 변경 사항이 적용이 되지 않아 아무 데이터도 저장되지 않았던 오류가 있었다.그래서 다양한 원인을 유추해 보았다. 추측1. ajax 호출위의 사진들은 Login 시 클라이언트 측에서 발생하는 진행상황이다.login을 진행하면 OAuth2 토큰을 받아와 유저 정보를 가져온다.이때 정보를 가져오..

지난 시간에는 서비스 코드를 리팩터링하여 가독성이 좋고, SOLID 원칙에 근거하도록 코드를 재구성해 보았다.이번에는 개선된 코드를 도커를 통해 컨테이너 실행하고 잘 되는지 테스트해 보겠다. 사실 많은 시간이 걸렸다. 팀원들 모두 MSA 환경을 처음 접해보았기 때문에 서비스 간의 통신과 라우팅을 직접 접해보고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순서는 각 모듈에 대한 도커 컴포즈 파일의 구성, 그리고 이를 실행했을 때의 결과를 차례대로 보이도록 하겠다! Docker-compose.ymlversion: '3.8'networks: msa-network: driver: bridgeservices: rabbitmq: image: rabbitmq:3-management container_n..

지난 번에는 Maven에서 Gradle로 프로젝트를 변경하는 과정을 진행해보았다.이번에는 내가 맡은 account-service 모듈을 리팩터링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piggymetrics 레거시 코드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전체적으로 Lombok을 사용하지 않아 코드로 직접 구현하는 귀찮은 과정을 진행하였고, 오류 발생 시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하는 Exception도 제대로 구현되어 있지 않는 등 수정할 부분들이 많아 보였다.(오히려 좋아)하나씩 뜯어 고쳐보겠다.AccountControllerController 클래스의 코드 리팩터링 부분은 다음과 같다.1. 패키지별 API의 분리2. 원시 Mapping 사용이들을 수정하면 다음과 같아진다.@RequiredArgsConstructor@RestContro..

지난 번에는 MSA 환경을 적용해보기 위해 MSA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학습하고 간단한 실습을 진행해보았다.이제 본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위해 한 단계씩 나아가보도록 하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전 작업이 필요하다.본 "piggyMetrics" 프로젝트를 살펴보면 maven으로 작업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gradle로 변경할 계획이다.Why Gradle?단순히 Gradle로만 작업을 해왔다기에는 개발자로서의 체면이 서질 않는다.Gradle이 더 편하다고 듣고 적용을 해왔지만 확실한 이유를 알고 싶어서 짚고 넘어가기로 하였다. 1. Maven과 GradleMaven과 Gradle은 빌드 관리 도구로 사용된다.소스코드 파일을 독립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빌..

카카오 x 구름 부트캠프의 회고록 2회차이다!지난 시간에는 간단한 프로젝트의 소개와 MSA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MSA는 서비스의 수평적 확장과 독립성을 위해 사용하는 아키텍쳐로 팀 간의 협력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보수에 특화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이번 시간에는 Spring에서 MSA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알아보도록 하자!1. Spring Cloud MSA ComponentSpring Cloud GatewayURL 주소에 대해 여러 세부 경로에 따라 각각의 스프링부트 어플리케이션에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pring Cloud Eureka Server모니터링 서버로 Eureka Client 설정을 해둔 서버를 Eureka Server에 명시한다.모니터링 기능과 함께 Sprin..

금일부터 카카오 x 구름 부트캠프 1회차 프로젝트 회고록을 작성하려고 한다.아직 개발에 완전히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글을 작성하며 배운 내용을 복습해 보일 예정이다. 프로젝트 주제는 다음과 같다.협업을 통한 실시간 버그 해결 프로젝트는 실제 시장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클론 코딩하여 디버깅과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이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은 백엔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버그와 성능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하며, 배포 및 유지보수 과정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개발 전 과정을 경험합니다.팀 협업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에러 보고서와 해설지를 작성해 서로의 작업을 평가하고 개선합니다.우리는 깃허브에서 적합한 프로젝트를 찾았고, piggyMetrics라는 프로젝트를 최적화하기로 하..